투자포인트
1. 4Q24 는 다소 아쉬운 실적 기록: 카카오는 24 년 4 분기 매출액 1 조 9,591 억원(YoY +9.6%), 영업이익 1,067 억원(YoY -33.7%)를 기록하면서, 시장의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실적을 기록하였다. 플랫폼 부문은 YoY +9.6% 성장하였는데, 광고부문에서 광고주 수 성장& 톡채널 친구 수 확대 및 금융, 커머스 중심 활성으로 발송량이 증가하면서 비즈니스 메시지가 YoY 18% 성장하였다. 반면에 내수경기 부진 및 광고 업황이 회복이 지연되면서 DA 는 YoY 2%가 감소하였다. 커머스 부문은 개인화 상품 큐레이션 고도화 및 계절적 성수기 효과가 더해지면서 YoY 12%의 성장세를 보였다. 플랫폼 기타가 모빌리티(택시, 주차, 대리, 퀵)의 전반적인 성장과 페이 부문의 금융서비스 매출 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며, 카카오페이증권이 분기 기준 첫 흑자를 기록하면서 YoY 22%의 고성장을 시현하였다. 콘텐츠 부문은 전체적으로 YoY 12.6%가 감소하면서, 부진한 모습을 기록하였다. 게임은 신작 부재와 비게임 부문의 역성장이 지속되면서, YoY 30%의 감소를 기록하였다. 뮤직은 레이블&유통&멜론이 고른 모습을 보이며, 견조한 모습을 보였다. 픽코마와 엔터테인먼트는 소폭의 감소세를 보였으며, 미디어는 시장 전반의 편성축소 기조가 장기화 되면서, YoY 25%의 감소세를 기록하였다.
2. 오픈 AI 와의 협업 본격화 기대감: 동사는 오픈 AI 와 전격적인 협업을 통해, 오픈 AI 의 기술과 동사의 강력한 플랫폼 노하우를 접목시켜, 기존 AI 에이전트를 뛰어넘는 AI 어세스턴트 기능을 올해 하반기 내에 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카나나 서비스는 올해 별도의 App 으로 출시될 예정이며, 카카오의 AI 연동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3. AI 로 인한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한 시점: 24 년 잠정 매출액은 7 조 8,738 억원(YoY +4.2%), 영업이익 4,915 억원(YoY +6.6%)이다. 25 년 예상 매출액은 8 조 4,476 억원(YoY +7.3%), 영업이익 5,621 억원(YoY +14.4%)이다. 매출액의 증가와 비용통제로 인한 점진적이 실적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콘텐츠 부문의 부진이 아쉽지만 올해 하반기부터 오픈 AI 와의 협업을 통한 본격적인 본업과 AI 와의 결합이 기대되는 시점이다. 카카오의 국내 절대적인 플랫폼의 파워와 글로벌 최고의 AI 파트너와의 시너지를 지켜보자. |